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ko/docs/Learn/Getting_started_with_the_web/How_the_Web_works
위 링크를 보고 공부하는 겸 올립니다.
웹의 동작 방식 - Web 개발 학습하기 | MDN
'웹의 동작 방식'은 여러분의 컴퓨터나 폰의 웹 브라우저 안에서 웹페이지를 볼 때 무슨 일이 발생하는지에 대한 간소화된 개념을 제공할 것입니다.
developer.mozilla.org
웹에 연결된 컴퓨터는 클라이언트와 서버라고한다.
클라이언트 ? 인터넷이 연결된 장치들과 이런 장치들에서 웹에 접근하는 소프트웨어(크롬, 파이어폭스 등의 웹 브라우저)
서버 ? 웹페이지, 사이트, 또는 앱을 저장하는 컴퓨터.
클라이언트의 장비가 웹페이지에 접근하길 원할 때, 서버로부터 웹페이지의 사본이 다운로드된다.
+ 알아야 할 내용
인터넷 연결 | 웹에서 데이터를 보내고 받을 수 있게 해준다. |
TCP/IP (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/ Internet Protocol) | 데이터가 어떻게 웹을 건너 클라이언트에게 가는지 정의하는 통신 규약 |
DNS (Domain Name System Servers) | 웹사이트를 위한 주소록! 실제 웹주소는 IP주소로 웹의 하나뿐인 특정 위치를 나타내는데 기억하기 쉽지 않아서 도메인 이름 서버가 생겼다. |
HTTP (Hypertext Transfer Protocol) |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서로 통신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언어를 정의하는 어플리케이션 규약 |
컴포넌트 파일 | |
코드 파일 | 웹사이트는 근본적으로 HTML, CSS, JavaScript로 구성 |
자원 | 웹사이트를 만드는 모든 다른 것들을 위한 공동적인 이름(이미지, 음악, 비디오, 등등) |
클라이언트가 브라우저에 웹 주소를 입력하면!
1) DNS 서버로 가서 서버의 진짜 주소를 찾는다.
2) 브라우저는 서버에 웹사이트의 사본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내달라는 HTTP요청메세지를 전송한다. (TCP/IP이용)
3) 클라이언트의 요청 메시지를 받은 서버는 요청을 승인하고 200 OK 메세지를 클라이언트에게 전송한다. 이 후 서버는 웹사이트의 파일들을 데이터 패킷이라 불리는 작은 일련의 덩어리들로 브라우저에 전송한다.
4) 브라우저는 받은 데이터 패킷을 웹사이트로 조립하고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준다.
'정보 > Web_Libra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WS S3 bucket 에 있는 object를 lambda에 가져오기 (0) | 2024.04.01 |
---|---|
HTTP와 HTTPS (0) | 2022.01.0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