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ttps://ko.wikipedia.org/wiki/%EC%9C%84%EC%A7%80%EC%9C%84%EA%B7%B8#cite_note-2 // 용어공부
위지위그 - 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
위키백과,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. 위지위그(WYSIWYG: What You See Is What You Get, "보는 대로 얻는다")[1]는 인쇄된 문서, 웹 페이지, 슬라이드 프레젠테이션 등 완성된 결과물로서 인쇄 또는 표시될 때의
ko.wikipedia.org
Sencha htmlEditor를 이용할 때 IE와 Chrome에서 동작 차이
sencha extjs의 htmlEditor: https://examples.sencha.com/extjs/7.8.0/examples/kitchensink/#froala-document-ready
참고로 IE디버깅을 위해서는 Edge를 켜고 IE로 로드, IE 개발자도구 (%systemroot%\system32\f12\IEChooser.exe) 를 통해 IE전용 디버그 툴을 열어야 가능하다.
그리고 htmlEditor에 줄바꿈을 넣고 싶었는데, <br><br>을 두개 넣어야 cursor까지 옮길 수 있었다.
<br>을 하나만 넣었을 때는 입력하고있던 cursor가 옮겨지지 않았는데 두개 넣으니 옮겨지더라.
stackoverflow의 아래를 읽고 시도해보았다.
https://stackoverflow.com/questions/20552474/how-does-execcommand-insertbronreturn-work
How does execCommand "insertBrOnReturn" work?
I tried the following code on Chrome: document.execCommand("insertBrOnReturn", false, true); http://jsfiddle.net/uVcd5/ Wether I set the last parameter to true or false, the behaviour doesn't ch...
stackoverflow.com
첫 번째 차이점, <br> 태그 chrome에서는 사라지고 IE에서는 남아있다.


텍스트 입력 후에 두번째 <br>이 사라져있음을 볼 수 있다.
하지만 IE에서는 ?


두번째 <br>태그가 여전히 남아있는 것으로 확인된다.
p태그를 추가하였을 때, 재밌는 현상이 있는데,

<br>태그도 같이 생성된다는 것이다.

텍스트를 입력하면 (개발자도구에서 해당 element를 선택해놓고 텍스트입력을 해보면) <br>태그가 텍스트 입력했을 때 사라져있음을 볼 수 있다.
하지만 IE에서는 텍스트를 입력했어도 뒤에 <br /> 태그가 남아있었다.


두 번째 차이점, range의 범위가 다르다.
let selection = document.getSelection();
let range = selection.getRangeAt(0);
let currentNode = range.startContainer;
currentNode를 확인해보면 Chrome에서는 한글을 입력에 enter를 쳐서 확인해도 range의 startOffset과 endOffset이 같은데, IE에서는 한글을 입력중에 엔터를 친 경우에 아직 조합이 끝났다고 보지않아 startOffset과 endOffset이 차이가 있었다.
'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File-Tree-Generator 프로젝트 구조 트리 생성기 (0) | 2025.03.21 |
---|---|
유용한 정보: favicon generator, adobe color-wheel (0) | 2025.03.06 |
EXCEL 문자열 ERROR 시 (0) | 2024.12.11 |
이모지 EMOJI 정규식 REGEX (0) | 2024.12.11 |
IntelliJ Terminal 에서 .bash_profile 읽히게 하기 (0) | 2024.05.23 |